무상증자의 뜻과 개념, 무상증자 후 주가 변동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Imkon입니다. 오늘은 무상증자에 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
스마트 스토어 창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면서, 카페 24라는 쇼핑몰 플랫폼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었는데요. 오늘 시황분석을 하다 보니 '카페 24'가 상한가를 맞았고, 그 원인을 찾아보니 무상증자 공시가 있었습니다.(저는 못 샀어요..)
투자를 하다 보면 증자, 감자, 유상, 무상 등등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무상증자의 정확한 개념과, 무상증자 공시가 있은 후 주가 변동 흐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상증자란 무엇일까?
무상증자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증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증자'는 새로운 주식을 발행해서 기업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그 증자는 외부에서 자금을 투입시키는 '유상증자'와, 기업 내부의 이익잉여금으로 자본금을 충당하는 '무상증자'로 나뉩니다.
기업의 자산은 부채와 자본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자본은 기업의 자본금과, 잉여금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그중에서 회계장부상의 이익잉여금으로 자본금을 충당하는 방식입니다.
결국 무상증자란 기업의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일이다. 자본금만큼 주식을 발행하고, 기존 주주들이 가진 지분에 비례해서 주식을 나눠주면 무상증자 절차가 끝이 나게 됩니다.
무상증자를 하는 이유?
무상증자를 하게 되면 회계장부상 기업의 자본금과 발행 주식수는 늘어납니다. 하지만 실제 회사의 자산 가치는 변화가 없습니다. 결론은 실제 기업의 가치가 바뀌는 것은 없는데 왜 무상증자를 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회사의 주가 관리를 위해서입니다. 주주에게 공짜로 주식을 나눠주면 오늘 '카페 24'가 상한가를 맞은 것처럼 해당 기업 주식의 인기가 높아지게 됩니다. 또한 무상증자를 한다는 것 자체가 기업의 이익잉여금이 많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 해석을 하던 대체로 주가 상승을 부르는 호재로 인식됩니다.
주의할 점
일반적인 통념상 무상증자를 호재로 대부분 생각합니다. 하지만 일부 소규모 기업은 무상증자 공시를 하기 전 주식을 미리 매집한 후 발표 직후 주가 상승분만큼 매매 차익을 챙기는 방식으로 투기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두가 그렇다는 것은 절대 아니지만, 무상증자를 주가 상승으로 생각해서는 안됩니다.
무상증자 후 주가 변동은?
위에서 설명드렸던 무상증자의 개념대로라면, 무상증자를 하더라도 실질적인 기업의 자산가치가 변화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카페 24처럼 1주당 1주의 무상증자를 시행한다면, 해당 주식의 가격은 절반이 되어야 합니다. 실제로 무상증자를 하면 권리락을 실시해서 주가를 하락시키게 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투자심리가 기업의 현재가치와 발행주식 수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지 않고, 단순히 1주당 가격으로 싸다 비싸다고 판단하는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에 대체로 무상증자를 하게 되면 거래가 활발해지고 기존 주가의 무상증자 비율보다는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런 경우라면 투자자들의 보유주식 가치는 늘어나게 됩니다. 위 사진처럼 권리락이 있지만, 대체로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까지 무상증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포스팅 보러 가기
[Money/Stock] - 3월 공매도 재개, 공매도 뜻과 주가 영향력 알아보기
[Money/Stock] - 개미가 꼭 알아야 할 주식 차트 보는 법
[Money/Stock] - 주가 전망, 적정 주가 손쉽게 계산하는 법
'Money > Sto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공매도 재개, 공매도 뜻과 주가 영향력 알아보기 (2) | 2021.01.13 |
---|---|
쿠팡 나스닥 상장 임박, 쿠팡 관련주 알아보기 (0) | 2021.01.12 |
미국 달러 강세, 비트코인 시세에 미치는 영향은? (0) | 2021.01.11 |
'월간 커넥트' 짐 로저스의 경고, 빅쇼트 인버스 사야 하나? (0) | 2021.01.09 |
현대차 주가 전망, 애플카와 시너지는? (2) | 2021.01.08 |